# encoding: UTF-8 class Gimchi # Private class. # Partial implementation of Korean pronouncement pronunciation rules specified in # http://http://www.korean.go.kr/ # @private class Pronouncer private def initialize pconfig, structure @pconfig = pconfig @structure = structure end def pronounce! str, options = {} @sequence = @pconfig[:transformation][ "sequence_for_#{options[:each_char] ? '1' : '2'}".to_sym] - options[:except] # Dissecting @chars = str.each_char.map { |c| Gimchi.kchar(c) rescue c } @orig_chars = @chars.dup # Padding @chars.each { |c| pad c } # Two-phase processing # - For `slur' applied = [] 2.times do | phase | @chars = @chars.reject { |c| c =~ /\s/ } if phase == 1 # slur-phase # Deep-fried...no copied backup @initial_chars = @chars.map { |c| c.dup } # Transform one by one applied += (0...@chars.length).inject([]) { | arr, i | arr + transform(i); } # Post-processing (actually just for :each_char option) @chars.select { |c| c.is_a?(Gimchi::Char) && c.jongsung }.each do | c | c.jongsung = @pconfig[:jongsung_sound][c.jongsung] end break unless options[:slur] end return @orig_chars.join, applied end private def transform idx @cursor = idx kc = @chars[@cursor] # Not korean return [] unless kc.is_a? Gimchi::Char # Setting up variables for fast lookup @kc = kc @next_kc = (nkc = @chars[@cursor + 1]).is_a?(Gimchi::Char) ? nkc : nil @kc_org = @initial_chars[@cursor] @next_kc_org = (nkco = @initial_chars[@cursor + 1]).is_a?(Gimchi::Char) ? nkco : nil # Cannot properly pronounce return [] if @kc.chosung.nil? && @kc.jungsung.nil? && @kc.jongsung.nil? applied = [] not_todo = [] blocking_rule = @pconfig[:transformation][:blocking_rule] @sequence.each do | rule | next if not_todo.include?(rule) if self.send(rule) applied << rule not_todo += blocking_rule[rule] if blocking_rule.has_key?(rule) end end applied end def pad c return unless c.is_a? Gimchi::Char c.chosung = 'ㅇ' if c.chosung.nil? c.jungsung = 'ㅡ' if c.jungsung.nil? end # shortcut def fortis_map @structure[:fortis_map] end # shortcut def double_consonant_map @structure[:double_consonant_map] end # 제5항: ‘ㅑ ㅒ ㅕ ㅖ ㅘ ㅙ ㅛ ㅝ ㅞ ㅠ ㅢ’는 이중 모음으로 발음한다. # 다만 1. 용언의 활용형에 나타나는 ‘져, 쪄, 쳐’는 [저, 쩌, 처]로 발음한다. # 다만 3. 자음을 첫소리로 가지고 있는 음절의 ‘ㅢ’는 [ㅣ]로 발음한다. def rule_5_1 if %w[져 쪄 쳐].include? @kc.to_s @kc.jungsung = 'ㅓ' true end end def rule_5_3 if @kc.jungsung == 'ㅢ' && @kc_org.chosung.consonant? @kc.jungsung = 'ㅣ' true end end # 제9항: 받침 ‘ㄲ, ㅋ’, ‘ㅅ, ㅆ, ㅈ, ㅊ, ㅌ’, ‘ㅍ’은 어말 또는 자음 앞에서 # 각각 대표음 [ㄱ, ㄷ, ㅂ]으로 발음한다. def rule_9 map = { %w[ㄲ ㅋ] => 'ㄱ', %w[ㅅ ㅆ ㅈ ㅊ ㅌ] => 'ㄷ', %w[ㅍ] => 'ㅂ' } if map.keys.flatten.include?(@kc.jongsung) && (@next_kc.nil? || @next_kc.chosung.consonant?) @kc.jongsung = map[ map.keys.find { |e| e.include? @kc.jongsung } ] true end end # 제10항: 겹받침 ‘ㄳ’, ‘ㄵ’, ‘ㄼ, ㄽ, ㄾ’, ‘ㅄ’은 어말 또는 자음 앞에서 # 각각 [ㄱ, ㄴ, ㄹ, ㅂ]으로 발음한다. def rule_10 map = { %w[ㄳ] => 'ㄱ', %w[ㄵ] => 'ㄴ', %w[ㄼ ㄽ ㄾ] => 'ㄹ', %w[ㅄ] => 'ㅂ' } if map.keys.flatten.include?(@kc.jongsung) && (@next_kc.nil? || @next_kc.chosung.consonant?) # Exceptions if @next_kc && ( (@kc.to_s == '밟' && @next_kc.chosung.consonant?) || (@kc.to_s == '넓' && @next_kc && %w[적 죽 둥].include?(@next_kc_org.to_s))) # PATCH @kc.jongsung = 'ㅂ' else @kc.jongsung = map[ map.keys.find { |e| e.include? @kc.jongsung } ] end true end end # 제11항: 겹받침 ‘ㄺ, ㄻ, ㄿ’은 어말 또는 자음 앞에서 각각 [ㄱ, ㅁ, ㅂ]으로 발음한다. def rule_11 map = { 'ㄺ' => 'ㄱ', 'ㄻ' => 'ㅁ', 'ㄿ' => 'ㅂ' } if map.keys.include?(@kc.jongsung) && (@next_kc.nil? || @next_kc.chosung.consonant?) # 다만, 용언의 어간 말음 ‘ㄺ’은 ‘ㄱ’ 앞에서 [ㄹ]로 발음한다. # - 용언 여부 판단은?: 중성으로 판단 (PATCH) if @next_kc && @kc.jongsung == 'ㄺ' && @next_kc_org.chosung == 'ㄱ' && %w[맑 얽 섥 밝 늙 묽 넓].include?(@kc.to_s) # PATCH @kc.jongsung = 'ㄹ' else @kc.jongsung = map[@kc.jongsung] end true end end # 제12항: 받침 ‘ㅎ’의 발음은 다음과 같다. # 1. ‘ㅎ(ㄶ, ㅀ)’ 뒤에 ‘ㄱ, ㄷ, ㅈ’이 결합되는 경우에는, 뒤 음절 첫소리와 # 합쳐서 [ㅋ, ㅌ, ㅊ]으로 발음한다. # [붙임 1]받침 ‘ㄱ(ㄺ), ㄷ, ㅂ(ㄼ), ㅈ(ㄵ)’이 뒤 음절 첫소리 ‘ㅎ’과 # 결합되는 경우에도, 역시 두 음을 합쳐서 [ㅋ, ㅌ, ㅍ, ㅊ]으로 발음한다. # [붙임 2]규정에 따라 ‘ㄷ’으로 발음되는 ‘ㅅ, ㅈ, ㅊ, ㅌ’의 경우에도 이에 준한다. # # 2. ‘ㅎ(ㄶ, ㅀ)’ 뒤에 ‘ㅅ’이 결합되는 경우에는, ‘ㅅ’을 [ㅆ]으로 발음한다. # # 3. ‘ㅎ’ 뒤에 ‘ㄴ’이 결합되는 경우에는, [ㄴ]으로 발음한다. # [붙임]‘ㄶ, ㅀ’ 뒤에 ‘ㄴ’이 결합되는 경우에는, ‘ㅎ’을 발음하지 않는다. # # 4. ‘ㅎ(ㄶ, ㅀ)’ 뒤에 모음으로 시작된 어미나 접미사가 결합되는 경우에는, ‘ㅎ’을 발음하지 않는다. def rule_12 return if @next_kc.nil? map_12_1 = { 'ㄱ' => 'ㅋ', 'ㄷ' => 'ㅌ', 'ㅈ' => 'ㅊ' } if %w[ㅎ ㄶ ㅀ].include?(@kc.jongsung) # 12-1 if map_12_1.keys.include?(@next_kc.chosung) @next_kc.chosung = map_12_1[@next_kc.chosung] @kc.jongsung = (dc = double_consonant_map[@kc.jongsung]) && dc.first # 12-2 elsif @next_kc.chosung == 'ㅅ' @kc.jongsung = (dc = double_consonant_map[@kc.jongsung]) && dc.first @next_kc.chosung = 'ㅆ' # 12-3 elsif @next_kc.chosung == 'ㄴ' if dc = double_consonant_map[@kc.jongsung] @kc.jongsung = dc.first else @kc.jongsung = 'ㄴ' end # 12-4 elsif @next_kc.chosung == 'ㅇ' @kc.jongsung = (dc = double_consonant_map[@kc.jongsung]) && dc.first end true end # 12-1 붙임 if @next_kc.chosung == 'ㅎ' map_jongsung = { # 붙임 1 'ㄱ' => [nil, 'ㅋ'], 'ㄺ' => ['ㄹ', 'ㅋ'], 'ㄷ' => [nil, 'ㅌ'], 'ㅂ' => [nil, 'ㅍ'], 'ㄼ' => ['ㄹ', 'ㅍ'], 'ㅈ' => [nil, 'ㅊ'], 'ㄵ' => ['ㄴ', 'ㅊ'], # 붙임 2 'ㅅ' => [nil, 'ㅌ'], #'ㅈ' => [nil, 'ㅌ'], # FIXME: 붙임2의 모순 'ㅊ' => [nil, 'ㅌ'], 'ㅌ' => [nil, 'ㅌ'], } if trans1 = map_jongsung[@kc.jongsung] @kc.jongsung = trans1.first @next_kc.chosung = trans1.last true end end end # 제13항: 홑받침이나 쌍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, 접미사와 # 결합되는 경우에는,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. def rule_13 return if @kc.jongsung.nil? || @kc.jongsung == 'ㅇ' || @next_kc.nil? || @next_kc.chosung != 'ㅇ' @next_kc.chosung = @kc.jongsung @kc.jongsung = nil true end # 제14항: 겹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,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, # 뒤엣것만을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.(이 경우, ‘ㅅ’은 된소리로 발음함.) # def rule_14 return if @kc.jongsung.nil? || @kc.jongsung == 'ㅇ' || @next_kc.nil? || @next_kc.chosung != 'ㅇ' if consonants = double_consonant_map[@kc.jongsung] consonants[1] = 'ㅆ' if consonants[1] == 'ㅅ' @kc.jongsung, @next_kc.chosung = consonants true end end # 제15항: 받침 뒤에 모음 ‘ㅏ, ㅓ, ㅗ, ㅜ, ㅟ’들로 시작되는 __실질 형태소__가 연결되는 # 경우에는, 대표음으로 바꾸어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. def rule_15 return if @kc.jongsung.nil? || @kc.jongsung == 'ㅇ' || @next_kc.nil? || @next_kc.chosung != 'ㅇ' if false && %w[ㅏ ㅓ ㅗ ㅜ ㅟ].include?(@next_kc.jungsung) && %[ㅆ ㄲ ㅈ ㅊ ㄵ ㄻ ㄾ ㄿ ㄺ].include?(@kc.jongsung) == false # PATCH @next_kc.chosung = @pconfig[:jongsung_sound][ @kc.jongsung ] @kc.jongsung = nil true end end # 제16항: 한글 자모의 이름은 그 받침소리를 연음하되, ‘ㄷ, ㅈ, ㅊ, ㅋ, ㅌ, # ㅍ, ㅎ’의 경우에는 특별히 다음과 같이 발음한다. def rule_16 return if @next_kc.nil? map = {'디귿' => '디긋', '지읒' => '지읏', '치읓' => '치읏', '키읔' => '키윽', '티읕' => '티읏', '피읖' => '피읍', '히읗' => '히읏'} word = @kc.to_s + @next_kc.to_s if map.keys.include? word new_char = Gimchi.kchar(map[word].scan(/./mu)[1]) @next_kc.chosung = new_char.chosung @next_kc.jongsung = new_char.jongsung true end end # 제17항: 받침 ‘ㄷ, ㅌ(ㄾ)’이 조사나 접미사의 모음 ‘ㅣ’와 결합되는 경우에는, # [ㅈ, ㅊ]으로 바꾸어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. # # [붙임] ‘ㄷ’ 뒤에 접미사 ‘히’가 결합되어 ‘티’를 이루는 것은 [치]로 발음한다. def rule_17 return if @next_kc.nil? || %w[ㄷ ㅌ ㄾ].include?(@kc.jongsung) == false if @next_kc.to_s == '이' @next_kc.chosung = @kc.jongsung == 'ㄷ' ? 'ㅈ' : 'ㅊ' @kc.jongsung = (dc = double_consonant_map[@kc.jongsung]) && dc.first true elsif @next_kc.to_s == '히' @next_kc.chosung = 'ㅊ' @kc.jongsung = (dc = double_consonant_map[@kc.jongsung]) && dc.first true end end # 제18항: 받침 ‘ㄱ(ㄲ, ㅋ, ㄳ, ㄺ), ㄷ(ㅅ, ㅆ, ㅈ, ㅊ, ㅌ, ㅎ), ㅂ(ㅍ, ㄼ, # ㄿ, ㅄ)’은 ‘ㄴ, ㅁ’ 앞에서 [ㅇ, ㄴ, ㅁ]으로 발음한다. def rule_18 map = { %w[ㄱ ㄲ ㅋ ㄳ ㄺ] => 'ㅇ', %w[ㄷ ㅅ ㅆ ㅈ ㅊ ㅌ ㅎ] => 'ㄴ', %w[ㅂ ㅍ ㄼ ㄿ ㅄ] => 'ㅁ' } if @next_kc && map.keys.flatten.include?(@kc.jongsung) && %w[ㄴ ㅁ].include?(@next_kc.chosung) @kc.jongsung = map[ map.keys.find { |e| e.include? @kc.jongsung } ] true end end # 제19항: 받침 ‘ㅁ, ㅇ’ 뒤에 연결되는 ‘ㄹ’은 [ㄴ]으로 발음한다. # [붙임]받침 ‘ㄱ, ㅂ’ 뒤에 연결되는 ‘ㄹ’도 [ㄴ]으로 발음한다. def rule_19 if @next_kc && @next_kc.chosung == 'ㄹ' && %w[ㅁ ㅇ ㄱ ㅂ].include?(@kc.jongsung) @next_kc.chosung = 'ㄴ' case @kc.jongsung when 'ㄱ' then @kc.jongsung = 'ㅇ' when 'ㅂ' then @kc.jongsung = 'ㅁ' end true end end # 제20항: ‘ㄴ’은 ‘ㄹ’의 앞이나 뒤에서 [ㄹ]로 발음한다. def rule_20 return if @next_kc.nil? to = if %w[견란 진란 산량 단력 권력 원령 견례 문로 단로 원론 원료 근류].include?(@kc_org.to_s + @next_kc_org.to_s) 'ㄴ' else 'ㄹ' end if @kc.jongsung == 'ㄹ' && @next_kc.chosung == 'ㄴ' @kc.jongsung = @next_kc.chosung = to true elsif @kc.jongsung == 'ㄴ' && @next_kc.chosung == 'ㄹ' @kc.jongsung = @next_kc.chosung = to true end end # 제23항: 받침 ‘ㄱ(ㄲ, ㅋ, ㄳ, ㄺ), ㄷ(ㅅ, ㅆ, ㅈ, ㅊ, ㅌ), ㅂ(ㅍ, ㄼ, ㄿ,ㅄ)’ # 뒤에 연결되는 ‘ㄱ, ㄷ, ㅂ, ㅅ, ㅈ’은 된소리로 발음한다. def rule_23 return if @next_kc.nil? if fortis_map.keys.include?(@next_kc.chosung) && %w[ㄱ ㄲ ㅋ ㄳ ㄺ ㄷ ㅅ ㅆ ㅈ ㅊ ㅌ ㅂ ㅍ ㄼ ㄿ ㅄ].include?(@kc.jongsung) @next_kc.chosung = fortis_map[@next_kc.chosung] true end end # 제24항: 어간 받침 ‘ㄴ(ㄵ), ㅁ(ㄻ)’ 뒤에 결합되는 어미의 첫소리 ‘ㄱ, ㄷ, ㅅ, ㅈ’은 된소리로 발음한다. # 다만, 피동, 사동의 접미사 ‘-기-’는 된소리로 발음하지 않는다. # 용언 어간에만 적용. def rule_24 return if @next_kc.nil? || @next_kc.to_s == '기' # FIXME 피동/사동 여부 판단 불가. e.g. 줄넘기 # FIXME 용언 여부를 판단. 정확한 판단 불가. return unless case @kc.jongsung when 'ㄵ' %w[앉 얹].include? @kc.to_s when 'ㄻ' %w[젊 닮].include? @kc.to_s else false # XXX 일반적인 경우 사전 없이 판단 불가 end if %w[ㄱ ㄷ ㅅ ㅈ].include?(@next_kc.chosung) && %w[ㄴ ㄵ ㅁ ㄻ ㄼ ㄾ].include?(@kc.jongsung) @next_kc.chosung = fortis_map[@next_kc.chosung] true end end # 제25항: 어간 받침 ‘ㄼ, ㄾ’ 뒤에 결합되는 어미의 첫소리 ‘ㄱ, ㄷ, ㅅ, ㅈ’은 # 된소리로 발음한다. def rule_25 return if @next_kc.nil? if %w[ㄱ ㄷ ㅅ ㅈ].include?(@next_kc.chosung) && %w[ㄼ ㄾ].include?(@kc.jongsung) @next_kc.chosung = fortis_map[@next_kc.chosung] true end end # 제26항: 한자어에서, ‘ㄹ’ 받침 뒤에 연결되는 ‘ㄷ, ㅅ, ㅈ’은 된소리로 발음한다. def rule_26 # TODO end # 제27항: __관형사형__ ‘-(으)ㄹ’ 뒤에 연결되는 ‘ㄱ, ㄷ, ㅂ, ㅅ, ㅈ’은 된소리로 발음한다. # - ‘-(으)ㄹ’로 시작되는 어미의 경우에도 이에 준한다. def rule_27 # FIXME: NOT PROPERLY IMPLEMENTED return if @next_kc.nil? # 비교적 확률이 높은 경우들에 대해서만 처리. "일" 은 제외. if %w[할 갈 날 볼 을 앨 말 힐].include?(@kc.to_s) && # @kc.jongsung == 'ㄹ' && %w[ㄱ ㄷ ㅂ ㅅ ㅈ].include?(@next_kc.chosung) @next_kc.chosung = fortis_map[@next_kc.chosung] true end end # 제26항: 한자어에서, ‘ㄹ’ 받침 뒤에 연결되는 ‘ㄷ, ㅅ, ㅈ’은 된소리로 발음한다. # 제28항: 표기상으로는 사이시옷이 없더라도, 관형격 기능을 지니는 사이시옷이 # 있어야 할(휴지가 성립되는) 합성어의 경우에는, 뒤 단어의 첫소리 ‘ㄱ, ㄷ, # ㅂ, ㅅ, ㅈ’을 된소리로 발음한다. def rule_26_28 # TODO end # 제29항: 합성어 및 파생어에서, 앞 단어나 접두사의 끝이 자음이고 뒤 단어나 # 접미사의 첫음절이 ‘이, 야, 여, 요, 유’인 경우에는, ‘ㄴ’ 음을 첨가하여 # [니, 냐, 녀, 뇨, 뉴]로 발음한다. def rule_29 # TODO end # 제30항: 사이시옷이 붙은 단어는 다음과 같이 발음한다. # 1. ‘ㄱ, ㄷ, ㅂ, ㅅ, ㅈ’으로 시작하는 단어 앞에 사이시옷이 올 때는 이들 # 자음만을 된소리로 발음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, 사이시옷을 [ㄷ]으로 # 발음하는 것도 허용한다. # 2. 사이시옷 뒤에 ‘ㄴ, ㅁ’이 결합되는 경우에는 [ㄴ]으로 발음한다. # 3. 사이시옷 뒤에 ‘이’ 음이 결합되는 경우에는 [ㄴㄴ]으로 발음한다. def rule_30 return if @next_kc.nil? || @kc.jongsung != 'ㅅ' if %w[ㄱ ㄷ ㅂ ㅅ ㅈ].include? @next_kc.chosung @kc.jongsung = 'ㄷ' # or nil @next_kc.chosung = fortis_map[@next_kc.chosung] true elsif %w[ㄴ ㅁ].include? @next_kc.chosung @kc.jongsung = 'ㄴ' true elsif @next_kc.chosung == 'ㅇ' && %w[ㅣ ㅒ ㅖ ㅑ ㅕ ㅛ ㅠ].include?(@next_kc.jungsung) && @next_kc.jongsung # PATCH @kc.jongsung = @next_kc.chosung = 'ㄴ' true end end end#Pronouncer end#Gimchi